GWANGJU
ENTERPRISES FEDERATION
광주경총 광주도시철도 2호선 추진 성명서
광주경총
날짜 2018-01-12 조회수 4,024
첨부파일

광주도시철도 2호선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

 

광주는 지속적인 자동차 수 증가에 따라 도심교통 혼잡구간은 날로 늘어나는 반면 교통서비스 수준은 저하되는 등 교통 관련 사회적 비용이 꾸준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게다가 신규 택지지구 개발 등으로 도시 외연이 확대됨에 따른 시내버스 운영권역 확대로 노선연장 운행· 배차시간 증가 등 서비스 저하에 따라 이용객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단일 노선인 도시철도 1호선은 인구 밀집지역을 경유하지 않고 대중교통 수단간 연계성 또한 수월하지 않아 이용률이 저조한 실정이다.

따라서 타 교통수단에 비해 저렴하고 정시성·신속성·대량수송이 가능한 도시철도 중심의 대중교통망 구축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임에도 도시철도 2호선 착공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일각에게 제기되고 있어 다음과 같이 촉구하는 바이다. 

도심과 외곽을 유기적으로 연계하기 위해 도시철도 중심의 간선체계 구축과 시내·마을버스 중심의 보조간선 체계 확립이 필요하고, 승용차 이용을 억제하고 보행·자전거 중심의 도시교통 체계 구축을 위한 도시철도 중심의 대중교통 인프라 구축은 광주의 최우선 선결과제이다.

첫째, 도시철도 2호선을 건설하여 CO2 감축을 통한 녹색도시 조성을 기대한다.

광주지역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37%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특히, 교통부문을 최우선 감축대상 과제로 선정하고 있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는 친환경적이고 대량수송이 가능한 도시철도 2호선이 최적의 대안이 된다.

둘째, 역세권 개발을 통한 지역내 균형발전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2호선은 순환선으로, 광주지역 주요 지점을 대부분 경유하게 되므로 1호선과 달리 역세권 개발과 구도심·신도심간의 균형적 발전이 가능하고 완공 이후에는 신규 역세권 형성 및 교통 결절점으로의 기능 수행이 가능하다.

셋째,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혜를 모아야 한다.

도시철도 2호선 건설을 통해 국민경제와 특히 지역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문기관에서 예측하고 있으며, 건설과정에서 지역업체 참여 비율을 높여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와 신규 일자리 창출이 기대된다.

넷째, 재정건전성과 관련하여 중앙정부가 규정하고 있는 적정 단체 기준인 중기 채무전망기준 25%이내에서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2호선 운영시 시내버스와 지하철 1호선 이용객 증대에 따른 재정지원금 감소와 도로개설비용 등 재정절감 요인이 추가로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

우리 경영계는 이러한 도시철도 건설에 따른 효과를 감안할 때 재정건전성에 대한 단기적인 부담이 있겠지만 중장기적 발전 측면에서라도 지하철 2호선 건설을 조속히 추진하기 바란다.

 

2018.1 

광주경영자총협회

보도자료 게시글 상세 폼
top 버튼